alistasha
alistasha
카드 결제 시 매입사 코드 관련 문의
카드 결제 시, 리턴 값으로 결제에 사용된 카드의 발급사 코드 및 매입사 코드를 리턴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뱅크 체크카드의 경우 발급사 코드는 "15", 매입사 코드는 "11"로 리턴되는데 즉, 발급사는 카카오뱅크(15), 매입사는 국민은행(11)이라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매입사 코드는 아래의 링크에서 해당 카드사에 부여된 코드를 의미하는 걸까요? 국내 매입사는 현대, 농협, 비씨, 삼성, 롯데, 신한, 국민, 하나, 우리 총 9개 사에서만 한다고 확인되는데, 그렇다면 현대(61), 농협(91), 비씨(31), 삼성(51), 롯데(71), 신한(41), 국민(11), 하나(21)가 맞는지 확인 요청드립니다. https://docs.tosspayments.com/codes/org-codes#%EC%B9%B4%EB%93%9C%EC%82%AC-%EC%BD%94%EB%93%9C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자사몰에서 결제 시, 결제된 카드의 매입사 코드와 매칭되는 카드사의 별도 코드 값을 ERP 전달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매입사 코드 리스트가 필요하여 이와 같이 요청드리는 바입니다.
5 replies
자동결제(빌링)과 브랜드페이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진행 중인 B2B 기반의 폐쇄몰 프로젝트에서 '결제 시 매번 귀찮게 신용카드를 선택하기 보다는, 자주 사용하는 신용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미리 등록해 놓고 싶다' 라는 고객사의 요청사항이 있어 아래와 같이 문의 드립니다. 현재까지 제가 확인한 바, 토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신용카드를 미리 등록해놓고 결제수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자동결제(빌링)' 및 '브랜드페이' 두 가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신용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미리 등록해 둔다' 라는 측면에서 이 둘은 동일하나, 자동결제(빌링)은 정기결제 결제에 한하여 사용 가능한 반면, 브랜드페이는 그러한 제약이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비정기적 결제 용도로 사용할 예정인데, 그렇다면 브랜드페이로 구현하는 게 적절한 걸까요? 그리고 브랜드페이로 구현 시, "XXXX 페이" 와 같은 이름 대신 "간편결제" 혹은 별도의 다른 이름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 요청드립니다. (B2B 기반의 폐쇄몰이라 딱히 "XXX 페이" 와 같은 거창한 이름은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
21 re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