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입금 오류
TID: kmong202508180911568NEo0
TID: kmong20250728215311Nhlm2
가상계좌 입금 후 입금 취소가 발생하는 건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소 5년 정도 지속됐습니다.)
해당 TID 외에도 여러 건이 있으며, 신한은행에서만 해당 케이스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슈에 대해 알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가상계좌의 경우, 입금 완료에 대한 웹훅이 들어왔다면 입금 완료로 판단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보입니다.
하지만 입금 완료 후 곧바로 취소되는 케이스(실제로 사용자가 취소하지 않았는데 수 초 내로 신호가 오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모듈은 XPayClien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제 승인 지연 방식은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이 가기 때문에 해당 방법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합니다.
또한 지연 처리의 경우, 얼마 동안 지연해야 이슈가 발생하지 않을지 판단이 어렵습니다. (입금 완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8 Replies
⏳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곧 답변드리겠습니다
오류 문의일 경우 아래 정보를 미리 전달해주시면, 빠른 답변에 도움이 됩니다.
- 주문번호(orderId) :
- 문의 내용 :
(img를 함께 첨부해주시면 도움이됩니다)
* 계약관련 내용은 1544-7772로 문의주세요.
* 주말/공휴일에는 답변이 늦을 수 있어요.
신한은행의 경우에만 타 은행과 다른 정책을 가져가고 있기 때문에, 입금취소 프로세스를 PG단에서 수정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이를 보완할수 있는 방법은
1. 가상계좌 입금노티 뿐만 아니라 취소노티도 함께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 가상계좌 통보시 아래와 같이 플래그를 구분하여 내리고 있습니다.
LGD_CASFLAG (거래종류 (R:할당, I:입금, C:취소)
=> LGD_CASFLAG = C 로 통보를 받을경우, 가맹점 내 주문상태를 취소로 업데이트
이 방법이 가장 좋으나, 가맹점의 추가 개발이 필요합니다.
2. 입금통보 지연 설정
=> 신한은행의 입금 직후 취소는 대부분 입금직후 수초 이내에 이루어집니다.
=> 입금통보 지연설정 (2분)을 하게 될 경우, 저희쪽에서 입금시간 기준 2분 후 최종 입금통보를 전송합니다.
=> 만일 2분 내 신한은행측 입금취소가 발생하면, 입금통보를 전송하지 않고 거래상태는 입금대기로 그대로 유지합니다. 이 방법이 가장 현실적입니다만, 2분지연 통보가 불가한 결제 프로세스라면 (입금직후 수초내에 가맹점 입금확인이 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이 어렵습니다. 3. 결제창에서 신한은행을 빼는 방법 => 계약으로 빼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확실하고 가맹점 개발도 없습니다. => 다만, 사용자가 선택할수 있는 은행을 하나 제거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있을수 있습니다. 타 PG사를 좀 확인해봤는데, 이니시스는 2분지연통보가 디폴트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KG이니시스 기술지원 입니다. 테스트 mid 실 입금건은 가상계좌 환불 페이지(Web manual)에서 요청 가능합니다. * 익 영업일 환불 노티에 대한 2분 차이는 은행에서 입금통보지연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입금통보지연 시스템 고객 입금 후 은행에서의 시스템 취소로 인한 가맹점 또는 당사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2분 후 입금 통보를 보내는 방식 * 입금지연 통보 사용 은행 : 신한, 하나, 우리, 기업, 수협, 대구, 경남, 전북, 광주, 토스뱅크, 케이뱅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만일 2분 내 신한은행측 입금취소가 발생하면, 입금통보를 전송하지 않고 거래상태는 입금대기로 그대로 유지합니다. 이 방법이 가장 현실적입니다만, 2분지연 통보가 불가한 결제 프로세스라면 (입금직후 수초내에 가맹점 입금확인이 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이 어렵습니다. 3. 결제창에서 신한은행을 빼는 방법 => 계약으로 빼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확실하고 가맹점 개발도 없습니다. => 다만, 사용자가 선택할수 있는 은행을 하나 제거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있을수 있습니다. 타 PG사를 좀 확인해봤는데, 이니시스는 2분지연통보가 디폴트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KG이니시스 기술지원 입니다. 테스트 mid 실 입금건은 가상계좌 환불 페이지(Web manual)에서 요청 가능합니다. * 익 영업일 환불 노티에 대한 2분 차이는 은행에서 입금통보지연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입금통보지연 시스템 고객 입금 후 은행에서의 시스템 취소로 인한 가맹점 또는 당사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2분 후 입금 통보를 보내는 방식 * 입금지연 통보 사용 은행 : 신한, 하나, 우리, 기업, 수협, 대구, 경남, 전북, 광주, 토스뱅크, 케이뱅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확인했습니다.
1.3번의 경우 고려대상이 아니라서 처리는 불가능하고요
2. 번의 경우 신한은행만 입금지연설정이 가능한걸까요?? 의사결정을 위해 가능여부가 필요합니다.
은행별 지연설정은 지원이 안되고 있어서..사용은행 전체에 대한 일괄 설정만 가능합니다.
네 알겠습니다.
❤️ 기술문의 경험이 어떠셨나요?!
간단히 코멘트 남겨주세요! 제품 발전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추가로 질문이 있습니다.
XPayClient가 아닌 토스 API를 사용해도 동일한 이슈가 발생하는걸까요?
추가로 다른 상점에서는 이런이슈가없는걸까요?
1) 네 은행정책이기 때문에, API 종류와 관계없습니다.
2) 다른 상점도 동일 이슈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그래서 매뉴얼에 반드시 취소노티를 구현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3) 취소노티를 구현하지 못하는 업체중 상당수는 2분 입금통보지연설정 요청을 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